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투자/이차천지 관련 정보12

2차전지 배터리 시장전망 (산업규모) 2차전지인 배터리 산업의 규모는 2035년까지 매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때 투자자라면 내가 투자하는 사업의 시장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먼저 파악해보고, 투자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성장성이 크다 하더라도 전체적인 파이가 작다면 주가가 오르는데 한계가 있을수 밖에 없겠지요. 지금까지 저는 2차전지 업체를 투자할 때 기업에서 발표하는 수주잔고, 캐파 증설이나 예상 생산량 기초근거로 하여 미래시장의 규모를 추정해 보았는데요, 기업에서 발표하는 생산량과 별도로 전체 시장에 대한 파악도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이번 포스팅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럼 이제 2차전지 배터리 시장 규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차 시장 SNE리서치는 2035년에 전 세계 전기차 판매 대수가 800.. 2024. 2. 24.
2차전지 ETF 비교분석 (나는 어떤 2차전지 ETF를 투자해야 할까?) ETF는 ETF는 특정지수 또는 가격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로서, 한마디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입니다. ETF는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합친 투자상품인데요, 펀드처럼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할수 있으면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사고 팔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2차전지산업에 대해서는 성장성을 믿고 투자하고 싶으나, 개별 종목에 대한 확신이 없고, 분산을 통해 리스크를 헷지하고자 ETF를 선택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하여 이번 포스팅을 작성해 보고자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개별종목에 투자하시는것을 좀더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ETF는 시장유동자(LP)가 매수/매도 주문을 하므로 개별종목별로 호가를 조정할수가 없으며 대형 ETF의 경우 포트조정 만으로도 시장 및 개별종목에.. 2024. 1. 6.
2차 전지 배터리 업체 소재 공급처 정리 - 배터리 업체별 소재주 확인하세요! 12월 1일 에코프로 비엠 43.8조 수주공시가 떴습니다. (5년간) 이는 에코프로 비엠의 2023년 예상 매출이 약 7.5조인 것과 비교하면 매우 큰 금액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언론들은 앞다투며 하나같이 에코프로비엠의 수주 공시 내용을 전달했는데요, 말그대로 "수주 잭팟"에 해당됩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0187951 "배터리 한파 닥쳤지만"…에코프로비엠 '수주 잭팟' 터졌다 "배터리 한파 닥쳤지만"…에코프로비엠 '수주 잭팟' 터졌다, 삼성SDI에 44조 공급 계약 2차전지 양극재 5년간 납품 www.hankyung.com 삼성SDI의 배터리 소재 중 양극재를 납품할 업체로 에코프로 비엠을 선택한건데요, 그렇다면 양극재 외에 다른 소재업체들도 추.. 2023. 12. 2.
LFP배터리 점유율 전망 & 국내 업체 LFP 생산 계획 전기차가 프리미엄 시장에서 대중화 시장으로 가려면 가격이 매우 중요한 요소일텐데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다보니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 배터리 시장으로 제품 다변화에 속도를 높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현재는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LFP시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LFP 배터리 시장의 점유율 전망과 국내 이차전지 업체들의 LFP 양산 계획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 현재의 LFP 시장 한국의 배터리 셀 제조 3사(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는 삼원계에 강점을 갖고 있는데요, 현재의 LFP시장은 중국이 시장의 99%를 차지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갖고 있습니다. 중국시장의 LFP점유율은 지난 3년동안 18%에서 60%로 급증했으며 중국외 시장으로 빠르게 확장 중.. 2023. 11. 27.
자동차 회사별 전기차 전환 계획 정리 - 전기차 시대, 내연차 종말시기는? (2) 이전 포스딩에서는 국가별 전기차 전환 계획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번시간에는 자동차 회사별 전기차 전환 계획을 살펴보겠습니다. 국가별 전기차 전환 계획이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아래 링크로 확인 부탁 드립니다. https://info-everything1.tistory.com/28 국가별 전기차 전환 정책 총정리 - 전기차 시대, 내연차 종말시기는? 현재 전 세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탄소 배출 감축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최근 이데일리TV 이슈체크 방송에서 박순혁 작가님이 국가별 전기차 정책을 정리해서 infonararo.info-nararo.com 아래는 2023년 상반기 세계 자동차 시장 점유율 TOP 10 인데요, 그럼 1위 업체인 토요타 부터 차례대로 전기차 전환.. 2023. 11. 23.
국가별 전기차 전환 정책 총정리 - 전기차 시대, 내연차 종말시기는? 현재 전 세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탄소 배출 감축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최근 이데일리TV 이슈체크 방송에서 박순혁 작가님이 국가별 전기차 정책을 정리해서 말씀해주신적이 있었는데요, 해당 내용이 2차전지 산업을 이해하는데 너무 유용한것 같아 이번기회에 해당내용을 포함해서 전체적으로 국가별 정책들을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국가별 전기차 전환 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미국이 자동차 탄소 배출 기준을 강화해 2032년까지 판매되는 신차의 67%를 전기차로 대체할 방침입니다. 또한 2030년까지 온실가스 50%감축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EU와 동일하게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를 금지, 2036년 전기차 외 운행금지 메사추세.. 2023. 11. 22.
이차전지 배터리 3사 수주잔고,북미 생산공장 현황 총정리(LG엔솔, SK온, 삼성SDI) 이차전지 배터리 업체 3사인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 SDI의 수주잔고 1000조를 달성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한민국 배터리 3사의 수주 잔고 및 생산공장 현황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3사 모두 한해가 다르게 수주잔고가 늘어가는데요, 이중 단연 1등은 LG에너지 솔루션 입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LG에너지 솔루션 수주잔고 2023년 6월 말까지만 해도 440조원 수주잔고를 기록했으나 불과 3달만에 LG에너지솔루션은 10월 25일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2023년 10월 기준으로 수주 잔고 500조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신규 수주에 대한 긍정적인 가능성까지 내비치며 연말 기록 경신을 예고했다고 하는데요, LG에너지솔루션 기획관리담당은 "신규·기존 거래선들과.. 2023. 11. 21.
반응형